
이번 글에서는 전기기기 핵심 부품 전기강판 공장의 중요성, 제조공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할게요. 철강 산업은 우리 일상과 경제 전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중에서도 전기강판은 전기기기와 자동차 산업에서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1. 전기강판이란?
전기강판은 실리콘이 포함된 강판으로, 철의 자성 특성을 최대화하여 철 손실을 줄이는 데 탁월하며 이 강판은 주로 전기 모터, 변압기, 발전기와 같은 전기기기의 핵심 부품으로 사용되어 집니다. 특히, 전기강판은 에너지 효율성을 높여 전력 소비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전기강판 공장의 최신동향
- 기술 혁신과 자동화
최근 전기강판 공장들은 고도의 자동화 기술을 도입해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있으며 특히, 인더스트리 4.0 기술 덕분에 생산 라인이 더욱 정밀해졌고, AI와 로봇 공학이 도입되어 제조 공정이 스마트하게 관리되는 추세입니다. - 친환경 제조 프로세스
전기강판 공장들은 이제 친환경 제조 공정을 도입해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이로써 전 세계적인 환경 규제를 준수하면서도 지속 가능한 생산을 실현하고 있죠. 재활용 기법을 활용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3. 전기강판 제조공정
전기강판은 전기기기, 변압기, 모터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철강 제품으로, 철 손실을 최소화하고 자성 특성을 최적화하는 데 중점을 둔 공정입니다. 전기강판 제조 공정은 고급 기술과 엄격한 품질 관리가 필요한 복잡한 절차인데 주로 두 가지 종류의 전기강판이 있어요. 무방향성 전기강판(Non-oriented Electrical Steel)과 방향성 전기강판(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각각의 제조 공정에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인 흐름은 유사해요. 다음은 전기강판 제조의 주요 공정의 흐름 입니다.
3.1 슬래브 생산 (Slab Production)
전기강판 제조의 시작은 슬래브(Slab)로 불리는 철강 재료를 생산하는 것부터 시작해요. 슬래브는 주로 고로(Blast Furnace)나 전기로(Electric Arc Furnace)를 통해 철광석이나 고철을 녹여 주조(연속 주조 방식)를 통해 생산되는 반제품입니다.
3.2 열연 공정 (Hot Rolling)
슬래브가 생성되면, 이를 고온으로 가열하는 열연 공정을 진행하게 되는데 슬래브는 1200도 이상에서 가열된 후 여러 번 롤러를 통과하면서 얇은 강판으로 압연되어집니다. 열연은 강판의 기본적인 두께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후속 냉연 공정에 적합한 강판을 준비하는 전 공정이라 볼 수 있습니다.
3.3 냉연 공정 (Cold Rolling)
열연 강판을 냉각한 후, 냉연 공정을 통해 더 얇고 정밀한 두께로 압연을 하는 공정입니다. 냉연 공정은 전기강판의 균일한 두께와 고품질 표면을 확보하는 중요한 공정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열연 후 굳어진 강판을 다시 압연 기계에 넣어 원하는 두께까지 타겟을 맞춥니다. 냉연을 통해 강판의 물리적 특성이 더욱 더 좋아집니다.
3.4 탈지 및 산세 (Degreasing and Pickling)
냉연 공정 후 강판 표면에 남아있는 이물질이나 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해 탈지 및 산세 공정을 거쳐야 합니다. 강판 표면에 남은 기름이나 불순물을 제거하고, 산세 공정에서는 염산이나 황산을 이용해 산화물을 제거하여 강판 표면을 깨끗하게 만드는 단계 공정입니다.
3.5 결정립 방향 설정 (Grain Orientation for GO)
방향성 전기강판(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의 경우, 결정립의 방향성을 제어하는 공정이 추가되야 합니다. 이를 통해 자성 특성이 특정 방향으로 강화되며 이 과정은 여러 열처리 단계에서 결정립이 성장하는 방향을 조정하여 고유의 자성 특성을 부여하는 단계 입니다.
3.6 재결정 풀림 (Annealing)
냉연된 강판은 재결정 풀림(Annealing) 공정을 통해 열처리되어 강판의 내부 구조를 재정렬해야합니다. 이 공정에서는 강판을 고온의 풀림로(Annealing Furnace)에 넣어 열처리하여 강판의 경도를 조정하고 자성 특성을 개선해야 합니다. 이 과정은 강판의 유연성과 자성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인 단계입니다.
3.7 절연 코팅 (Insulation Coating)
전기강판의 표면에는 절연 코팅을 적용하여 강판 간 전류 손실을 방지해야하며 주로 산화마그네슘(MgO)과 같은 절연 물질을 사용해 강판의 표면을 코팅합니다. 이 코팅은 강판이 전기기기 내부에서 동작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전력 손실을 줄이고, 기기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공정 단계입니다.
3.8 슬리팅 및 가공 (Slitting and Finishing)
최종 단계에서는 전기강판을 필요한 크기와 형태로 절단하며 이 과정을 통해 생산된 전기강판은 다양한 산업용으로 납품됩니다. 변압기, 모터, 발전기 등 여러 전기 기기에 적합한 크기와 형태로 가공하여 납품되어 집니다.
3.9 품질 검사 (Quality Control)
모든 제조 공정이 끝난 후, 전기강판은 품질 검사를 거치고 두께, 자성 특성, 표면 상태, 절연 코팅의 완성도를 엄격하게 검사하여 고객 요구에 맞는 고품질 제품이 출하되도록 준비 합니다.
4. 주요 전기강판 공장 사례
- 포스코(POSCO)
포스코는 한국을 대표하는 철강 기업으로, 뛰어난 품질의 전기강판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 회사는 전기차 제조업체들과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며, 고성능 전기강판을 공급하는 글로벌 강자로 자리 잡고 있는 중입니다. - 니폰스틸(Nippon Steel)
일본의 니폰스틸도 전기강판 제조에 있어 두각을 나타내는 기업이며 이 회사는 아이언 크리너 스마트 기술을 통해 제조 공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높은 품질을 자랑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5. 마무리
전기강판은 철강 산업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술 혁신과 친환경 제조 공정 덕분에 그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포스코와 니폰스틸 같은 기업들이 시장을 선도하며, 앞으로도 이 산업은 더욱 성장할 것입니다.
전기강판 공장에 대한 이 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철강 산업의 발전과 전기강판의 중요성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고 부족한 정보는 관련 사이트를 참조하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철강 산업의 혁신, MiniMill 공장의 부상